주휴수당 잘 받고 계신가요? 계산기 계산법 및 조건 알아보기
주말 알바 주휴 수당 알고 계셨나요? 주휴수당이란 주 5일제 근무의 경우 5일 만기 근무를 하게되면 휴일 중 하루를 유급으로 계산하는 제도입니다. 쉽게말해 돈 받으면서 쉬는날 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럼 지금부터 주휴수당 계산기 계산법과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위 그림은 알바몬 주휴수당 계산기 입니다. 아르바이트 주말 주휴 수당 계산때 써봤던 기억이 있는데요. 검색포털에 검색해 보시면 알바몬외 몇곳이 더 나옵니다.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될 듯 하구요. 계산방식은 모두 동일합니다. 법령에 의해 정해진 내용이기에 계산기는 동일한 원리로 입력만 하면 계산 되게끔 만들어 졌습니다. 계산법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특별히 계산기 사용을 하지 않더라도 계산이 가능합니다.
주휴수당 계산법은 단시간 근로자 우리가 아는 아르바이트로 법정 주당근로시간인 40시간으로 1주일 총 근로시간을 나눈값에 8을 곱한 후 시급을 곱해주면 됩니다. 그리고 주 40시간 근로자의 경우 계산법은 시급에 8시간을 곱하면 됩니다. 너무도 간단한 계산이기에 직접 하셔두 될듯 하구요.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주휴수당 계산기 검색하셔서 활용하셔도 좋을듯 합니다.
그럼 이 주휴수당 조건은 어떤걸 충족시킬때 받게 되는지 알려드릴게요. 사업주는 근로자에 대해 1주일 평균 1회 이상의 유급유일을 주어야 합니다. 이건 법적으로 정해진 것이기에 이를 어기면 법을 어기는 것입니다. 직장 근로자의 경우는 잘 지켜지지만 아르바이트 즉, 단시간 근로자의 경우 이 사항을 모르는 분도 많고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르바이트의 경우도 이에 해당 하기에 근로시간 15시간 이상을 근무한다면 주휴수당을 청구할 수 있으니 힘들게 일하는 아르바이트생들 주말 알바 주휴 수당 꼭 챙겨서 손해보는 일이 없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